동아ST

끊임없이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합니다.

Research and
development

Oncology

복잡하고 동적인 미세환경에서 발생하는 종양은 주변 세포 및 조직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 침습 및 전이를 일으키게 됩니다.
종양 미세환경은 종양세포, 면역세포 및 주변 조직인 stroma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포들의 특성과 기능은 주요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 조절된다고 연구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종양 미세환경에 대한 연구는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우리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을 위한 주요 신호전달 경로 분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Oncology

Our approaches

  • 종양 미세환경 기반의 새로운 항암제 타겟 탐색
  • 적절한 약물 모달리티 선정

Ongoing Programs

동아 ST의 항암 프로젝트는 Kynurenine pathway, T-cell receptor signaling, Immune checkpoint receptor signaling, Oncogenic signaling,
DNA damage response, and drug resistance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중 면역항암 프로젝트들이 앞선 단계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의 특장점은 T 세포의 기능 장애를 보호하거나 회복시키고 다른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저분자 약물들이라는 점입니다.
종양미세환경에서 활성화된 T 세포 및 다른 면역세포들은 항암 치료 효과 증대에 기여하게 됩니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면역항암치료제와 함께 사용되거나 더 나아가 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Program Target / Pathway Stage Modality
Immuno-oncology
DA-4505 AHR IND enabling SM
DA-4507 GCN2 Lead op. SM
DA-4511 TCR/ICR* signaling Lead op. SM
Discovery 1 IFN-I boosting Biological SM
Oncology
DA-4515 TEAD Lead op. SM
Discovery 2 DDR** signaling Hit-2-Lead SM
Discovery 3 Undisclosed Hit-2-Lead TPD
TME modulation
DA-3101 aFAP x IL-12v Cell line dev. Bispecific mAb
  • *TCR : T cell receptor, ICR : Immune checkpoint receptor
  • **DDR : DNA damage response
Ongoing Programs
Modified from
Biffi, Giulia, and David A Tuveson., Physiological reviews vol. 101,1 (2021): 147-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