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끊임없이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합니다.

Pipeline

Others

동아ST가 기존 강점을 보여왔던 Endocrine 분야를 비롯하여, 중장기적으로 Oncology와 Inflammation/Autoimmune Disease 및
Neurodegenerative Disease(NDD) 질환 중심의 신약개발 연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DA-8010 (velufenacin)

Others

Unmet needs

  • 과민성 방광은 국제 요실금 학회에 의해 절박성 요실금의 유무와 관계없이 요절박이 있는 증상군으로 빈뇨와 야간뇨를 동반하는 질환으로 정의됩니다.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성인 유병률은 11.8 ~ 22%이며, 연령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여 65세 이상 약 30%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과민성 방광은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삶의 질에 심각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면 장애, 불안, 자존감 저하, 요로 감염, 낙상의 위험성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은 상당한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환자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질병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합니다.
  • 방광 배뇨근은 방광이 차면 뇨를 배출하게 하는 콜린성 부교감 신경에 의해 자극됩니다. 아세틸콜린이 방출되어 배뇨근 평활근 세포의 무스카린 수용체에 결합하면 방광이 수축되어 배뇨가 일어납니다. 방광의 평활근에는 무스카린 수용체 M2와 M3가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습니다. M3 수용체는 M2 수용체과 1:3 비율로 존재하며 M3 수용체는 방광 수축을 조절하는 주요 역할을 담당합니다. 항무스카린제 즉, 무스카린 수용체 3 길항제는 불수의적 배뇨근의 수축을 억제하고 배뇨근의 과민성을 감소시켜 방광 용적을 증가시켜 빈뇨, 야간뇨, 요절박과 같은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MoA
(Mechanism of Action)

  • DA-8010은 동아ST가 개발중인 과민성 방광 치료제로서, 강력하고 선택적인 무스카린 수용체 3 길항제입니다.
  • 무스카린 수용체 억제제는 방광의 저장단계(Strage phase)에서 작용하여 방광용적을 증가시키고 무의식적인 방광 수축을 감소시키며, 초기 배뇨 욕구를 지연시킵니다. 방광의 평활근은 주로 부교감성 콜린성신경에 의해 자극 받는데 주요 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입니다. 무스카린 수용체는 배뇨단계(voiding phase)에서 방광수축을 매개하고, 충전단계(filling phase)에서 배뇨근의 긴장도를 조절합니다. 방광의 평활근에는 무스카린 수용체 M2와 M3가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습니다. M3 수용체는 M2 수용체 대비 1:3 비율로서 더 적은 비율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M3 수용체는 방광 수축을 조절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Competitiveness

  • 시판중인 기존 항무스카린제들과 비교했을 때, DA-8010은 M3 수용체에 대하여 가장 강력한 결합력과 억제 효능을 보유하였습니다. 또한 M1과 M2 수용체 대비 우수한 M3 선택성과 효능이 확인되었습니다. DA-8010은 특히 침샘 세포 및 조직 대비하여 방광 평활근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으며, 방광 조직에 대해 빠르고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이로 인해 기존의 부작용인 구강 건조 유발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DA-8010은 방광에 약효를 보이는 용량에서 변비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심장, 뇌 및 눈 대비 방광에 매우 선택적이기 때문에 심장독성, 중추신경계 및 안구 관련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과민성 방광 랫드 모델과 부분 방광 출구 폐색 랫드 모델의 요역동학 평가 결과, DA-8010이 방광 정상 기능을 유지하면서 배뇨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부분 방광 출구 폐색에 의해 유발된 방광 과민성의 생화학적 및 조직학적 지표를 개선시켰습니다.
  • DA-8010의 단회 및 반복 경구 투여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영국의 건강한 성인 대상으로 임상 1상 연구가 실시되었습니다. DA-8010의 내약성 뿐만 아니라, 1일 1회 경구 복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습니다.
  • DA-8010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과민성 방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 연구가 한국에서 실시되었습니다. DA-8010 2.5 mg와 5 mg 용량군에서 모두 심각한 부작용 없이 과민성 방광에 대한 치료적인 효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한국에서 두개 용량으로 대규모 임상 3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DA-8010은 기존 과민성 방광 치료제 대비 과민성 방광에 대한 더욱 우수한 효능과 낮은 부작용이 기대되며, 이는 환자들의 복약 순응도와 삶을 질을 개선하는 best-in-class 가능성을 보유한 약물임을 시사합니다.
  • Potential of a Best-in-Class OAB Medication
  • Attrative Preclinical and Clinical profiles
  • Improvement of OAB patients'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동아ST
  • Mean changes of 24-hour frequency (primary endpoint) in OAB patients (phase 2 clinical trial) *P<0.05. ***P<0.001.

Publications

  •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843, 240, 2019
  • BMC Urology 20, 41, 2020
  • Int Neurourol J. 26, 119, 2022
  • Pharmacology Research & Perspectives 11, e01040, 2023
  •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2016, 2017, 2019,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