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끊임없이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합니다.

Pipeline

Inflammatory / Neurodegenerative Disease

동아ST가 기존 강점을 보여왔던 Endocrine 분야를 비롯하여, 중장기적으로 Oncology와 Inflammation/Autoimmune Disease 및
Neurodegenerative Disease(NDD) 질환 중심의 신약개발 연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DA-7503

Inflammatory/Neurodegenerative Disease

Unmet needs

  • 알츠하이머병 (AD)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신경퇴행성 뇌질환으로 서서히 발병하여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악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의 뇌에서 관찰되는 주요 병리학적 특징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침착 뿐만 아니라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와 연관된 신경 섬유 다발입니다. 특히, 과인산화되고 응집된 타우 단백질은 알츠하이머병의 신경퇴행과 타우병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며, 변형된 타우를 과발현하는 유전자 변형 쥐 모델에서 신경세포 손실과 인지 기능 결함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신경 섬유 다발의 양은 알츠하이머병의 병기 진행과 뚜렷한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사후 검사에서 신경세포 내부의 타우 신경섬유다발은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간이 정신 상태 검사 또는 간이 치매 검사) 점수 즉, 인지기능과 역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습니다. 타우병증은 알츠하이머 병에서 주요한 원인으로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지만, 현재까지는 주목할 만한 개선 효과를 보이는 타우 표적 약물이 전무합니다.

MoA
(Mechanism of Action)

  • 세포 내 타우 단백질은 신경세포의 미세소관에 결합하여 신경세포 구조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병적인 상태의 타우는 과인산화와 같은 변형으로 인해 음전하를 띄게 되어 타우는 미세소관에서 분리되게 되고, 신경독성을 나타내는 올리고머 및 응집체로의 형성이 유도됩니다.
  • DA-7503은 강력하고 선택적인 타우 표적 저분자 화합물로서, 타우 응집을 저해하여 AD와 타우병증의 치료제로 개발중인 약물입니다. DA-7503은 신경세포의 미세소관으부터 분리된 변형된 타우 단량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올리고머 형성을 억제하고, 타우 응집체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세포 내 타우 올리고머, 원시섬유, 필라멘트, 신경섬유다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병적인 타우로 인한 신경 퇴행 및 뇌 위축으로부터 보호하고 알츠하이머병의 주된 증상인 기억 및 인지 저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확인된 바 있습니다. DA-7503은 저분자 화합물로서 세포 내에 주로 분포하는 병적인 타우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타우 표적 항체 또는 비선택적인 타우 저해제와 차별화됩니다.
  • Tau : a neuron-specific scaffolding protein that stabilizes microtubules
  • “Hyperphosphorylated and aggregated Tau is the primary cause of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AD).”

Competitiveness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
Potential First-in-class Tau Aggregation Inhibitor
A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 of Tau oligomerization and phosphorylation
High Specificity for Pathological Tau
Inhibition against pathological (aggregated, misfolded and phosphorylated)tau
Disease-Modifying Drug
Improvement of neurobehavior and brain pathology in AD models, Neuroprotection
Orally Available Small Molecule Drug
Action on intracellular pathological Tau, Improved access to the brain, More predictable efficacy and safety, Greater patient convenience

Publications

  • AAIC2022, poster presentation
  • ADPD2023, poster pres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