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끊임없이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합니다.

Pipeline

Inflammatory / Neurodegenerative Disease

동아ST가 기존 강점을 보여왔던 Endocrine 분야를 비롯하여, 중장기적으로 Oncology와 Inflammation/Autoimmune Disease 및
Neurodegenerative Disease(NDD) 질환 중심의 신약개발 연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DMB-3115

Inflammatory/Neurodegenerative Disease

General properties

동아에스티는 Ustekinumab (RMP: Stelara®)의 바이오시밀러인 DMB-3115를 개발 중이며, 이는 유럽 연합(EU), 미국(US), 한국 및 일본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입니다. DMB-3115의 적응증은 미국 승인을 받은 Stelara와 동일하며 다음과 같습니다 (Stelara, 미국 처방 정보, 2020):

Adult patients with:

  • 광선 요법 또는 전신치료요법을 필요로 하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판상 건선
  • 활동성 건선성 관절염: 단독 및 메토트렉세이트 병용 투여
  • 중등도에서 중증의 활성 크론병
  • 중등도에서 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Pediatric patients 6 years and older with:

  • 광선 요법 또는 전신치료요법을 필요로 하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판상 건선
  • 활동성 건선성 관절염
DMB-3115
Benson, Jacqueline M et al., Nature biotechnology vol. 29,7 (2011): 615-24.

(MoA)
(Mechanism of Action)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은 IL-12와 IL-23가 공통으로 보유한 단백질 서브유닛 p40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 IgG1κ 단일클론항체입니다. 우스테키누맙은 면역세포 표면에 발현된 IL-12Rβ1 수용체 단백질과 p40의 결합을 방지함으로써 IL-12와 IL-23의 생물활성을 억제합니다. 우스테키누맙은 이미 IL-12Rβ1 세포표면 수용체에 결합되어있는 IL-12 및 IL-23에는 결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스테키누맙은 IL-12와/또는 IL-23 수용체를 가진 세포들의 보체 또는 항체 매개의 세포독성에 기여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IL-12와 IL-23는 활성화된 항원제시세포인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 등이 분비하는 이종 이중체 사이토카인으로, 둘 다 면역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IL-12는 자연살해세포(NK 세포)를 자극하고 CD4+ T 세포의 Th1으로의 분화를 촉진하며, IL-23는 Th17 경로를 유도합니다. 그러나 IL-12와 IL-23의 비정상적인 조절은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면역질환을 일으키게 됩니다. 우스테키누맙은 이러한 면역 질환에서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h1 및 Th17 사이토카인 경로를 차단하게되고, 이를 통해 건선, 건선관절염,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에서 임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